항만물류 가상 모형(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지원 계획 수립 착수
해양수산부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부산항 전체에 적용하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올해 사전 타당성 조사를 포함하는 ‘항만물류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을 추진한다.
*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정보화사업(시스템개발 등) 추진에 앞서 수립하는 사전계획
‘디지털트윈’이란 3D 기술 등을 활용해 현실세계를 가상세계에 구현하는 기술로, 항만 물류에 적용되면 육해상 전 구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실시간 공유와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항만 물류 흐름을 도출해낼 수 있다.
지난 2021년 부산항만공사가 시범사업을 통해 부산항 신항 1부두를 대상으로 디지털트윈 기술을 최초로 적용하였으며, 항만 운영 효율성 증가(17%) 및 선박 배출 탄소 저감(33%)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디지털트윈 기술 적용 범위를 단일 터미널에서 부산항 전체로 확대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올해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을 위한 사업*시행자로 부산항만공사를 선정하였다.
* 366백만원(국비 50% 보조) / 2024. 3.~2024. 12. / 부산항 대상
이를 통해 부산항 항만물류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운영계획을 세우는 것은 물론, 주요 기술(S/W)의 국산화 추진 방안, 타 항만 확대 적용 전략 등을 마련할 예정이며,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실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플랫폼 개발이 완료되면 가상모형에서 도출된 최적의 터미널 운영계획**을 실제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시간당 화물처리 속도 향상, 선석 대기시간 감소 등 항만생산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388억 원(국비 50% 보조)/ 2025~2028 / 디지털트윈 플랫폼 개발 및 성능인증
** 선박 입출항 및 선석 배치 계획, 하역장비 배치·활용 계획 등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디지털트윈 기술 접목으로 항만의 생산성과 안전성, 배후물류 연계성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스마트항만의 국제 경쟁력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728x90
'디지털트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크트렌드] AI와 결합한 디지털 트윈의 진화 (68) | 2024.05.14 |
---|---|
[디지털트윈] 엔디비아(NDIVIA), 대화형 시각화로 가속화된 고해상도 기후 및 날씨 시뮬레이션 어스2(Earth-2) 공개 (72) | 2024.03.30 |
2023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 11월 23일~25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 1층 (15) | 2023.11.22 |
[KISTEP 수요포럼] 사이버 안보와 디지털 보안기술의 혁신전략 (24) | 2023.11.10 |
지방시대를 열어갈 도심융합특구에 R&D를 더하다. 핵심선도기술 (13)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