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반응형
SMALL
최근 5년 평균 대비 88~114% 수준, 전년 대비 58~75% 수준 예상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하 수과원)은 서해 가을어기* 꽃게 어획량을 평년**(최근 5년 평균) 대비 88~114% 수준으로, 최근 10년 중 최대 어획량을 기록한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 봄어기: 4월 1일~6월 20일, 가을어기: 8월 21일~11월30일
** 서해 가을어기 평년(최근 5년간) 꽃게 어획량: 11,397톤
*** 서해 가을어기 꽃게 어획량(톤): (‘14) 14,902 → (‘17) 6,246 → (‘20) 9,827 → (‘23) 17,126
수과원 서해수산연구소는 2004년부터 서해 5도를 비롯한 서해안 꽃게 어업인의 안전 조업과 안정적인 소득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봄어기와 가을어기 두 차례 꽃게 어획량을 예측해 왔다.
최근에는 서해 해양 변화 분석*과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예측 정확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 겨울철 황해난류의 서해 유입과 여름철 황해저층냉수의 연안 유입 분석 등
** 사람이 학습하듯이 컴퓨터에도 많은 자료를 줘서 스스로 학습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결과를 얻는 방법
올해 서해 봄어기 어획량*은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이는 올해 초 황해난류의 강한 유입과 평년에 비해 온난했던 저층 수온의 영향으로 서해 꽃게 자원량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 서해 봄어기 꽃게 어획량(톤): (‘15) 5,146 → (‘20) 1,987 → (‘23) 5,363 → (‘24) 8,866
반면, 가을어기는 여름철 황해저층냉수 세력 약화, 서해 난류 혼합수 세력 확장 및 서해 연안의 이례적인 고수온 영향으로 꽃게 어장이 전년보다 넓게 분산되어 어획 효율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봄어기에 평년*보다 작은 크기의 꽃게 어획량 증가는 가을어기 어획량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 ‘24년 인천 봄어기 꽃게 갑폭(평년)(cm): (4월) 12.8(13.5) → (5월) 12.7(13.5) → (6월) 12.6(13.5)
한편, 올해 7월 금어기 중 수산과학조사선(탐구2호)을 이용한 충남 및 전남해역 조사에서 어획된 꽃게 중 먹장게는 3%, 물렁게는 19%였으며, 8월 인천 연안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먹장게는 어획되지 않았으며, 어획된 수컷의 절반이 물렁게로 확인되었다.
다만, 가을어기가 시작되면서 산란이 종료되는 8~9월 이후 암컷 물렁게의 어획비율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과원 서해수산연구소는 지속적으로 가을어기 동안 꽃게 어획량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꽃게의 자원상태는 최근 비교적 양호하게 평가되지만, 해양환경 변화 등에 따라 자원량이 민감하게 변동하는 어종”이라며,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위해 꽃게 자원 관리에 대한 연구와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 용어 설명 · 황해난류: 겨울철(2월) 남쪽에서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표층수온 10℃ 기준의 해류. · 황해저층냉수: 황해 저층에 분포하는 저층수온 10℃ 이하의 물덩어리. · 서해 난류혼합수: 여름철 남쪽에서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대마난류, 대만난류 등의 따뜻한 해류를 통칭. · 갑폭: 꽃게의 가로 길이. · 먹장게: 꽃게의 껍질을 열었을 때, 생식소(정소와 난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검은 색인 꽃게. · 물렁게: 탈피(껍질을 벗는 현상) 후에 몸이 물렁한 상태의 꽃게. 가을어기에는 암컷은 산란 후에 탈피를 하며, 수컷은 성장을 위해 탈피를 진행 |
728x90
'해양수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수산] 어류 체색의 비밀. 화려한 물고기 색깔 눈길 (11) | 2024.08.30 |
---|---|
[해양환경] 2024 해양환경 “지식나눔” 온라인 라이브 특강 안내 (13) | 2024.08.29 |
백중사리 기간 해안가 저지대 침수 주의 (50) | 2024.08.24 |
[육상환경] 팔당 상수원 녹조에 수돗물 악취, 방지책 없는 건가? (59) | 2024.08.21 |
[육상환경] 대청호·보령호, 조류경보 ‘경계’ 발령. 조류독소모니터링 강화 (60)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