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상기후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역대 최대치 경신. 탄소배출로 인한 해양산성화에 대한 이야기

320x100

게티이미지뱅크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이 30일 발표한 ‘2022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는 관측 이래 최고치인 425.0ppm(1ppm은 100만 분의 1)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대비 1.9ppm 증가한 수치다. 

 

기상청은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프로그램의 대표기관으로 1987년부터 한반도 이산화탄소 등 기후변화 원인 물질을 안면도, 고산, 포항, 울릉도·독도 총 4개 지점에서 관측하고 있다. 온실기체 관측은 주로 직접적인 오염원 영향을 덜 받는 도서지역에서 진행되며 관측 결과는 2001년부터 매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통해 발표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9년부터 최장기간 온실기체를 연속 관측해 온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관측 이래 최고 농도를 경신했다. 고산 감시소와 울릉도 감시소 역시 전년 대비 2.0ppm 증가한 423.5ppm, 422.8ppm을 각각 기록했다.


참고로 전지구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도 417.1ppm을 기록하며 전년도보다 2.2ppm 증가해 역대 최고 농도를 기록했다. 

 

안면도, 고산, 울릉도, 독도와 전지구의 이산화탄소(CO2) 배경농도. 기상청 제공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2022년 안면도 메탄, 아산화질소, 불화황 농도 또한 모두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메탄 농도는 전년보다 6ppb(10억 분의 1) 증가한 2011ppb를, 아산화질소 농도는 1.8ppb 증가한 338.0ppb를 기록했다. 육불화황 농도 역시 2017년 최초 관측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에는 전년 대비 0.2ppt(1조 분의 1) 증가한 11.4ppt로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포함한 온실가스 농도는 관측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입자상 물질의 연평균 질량 농도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입자상 물질의 농도는 2021년 ㎥당 33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이었으며 2022년에는 이보다 24% 감소한 ㎥당 25μg를 기록했다. ‘에어로졸’로도 불리는 입자상 물질은 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입자를 뜻한다. 보통 0.001∼100㎛(100만 분의 1m)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으며 황사, 화산재, 해염 같은 자연적 요인과 도시·산업시설 배출, 소각, 자동차 등의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탄소 배출 저감 노력에도 이산화탄소 농도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에 대해 김수민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연구원은 “오존층 보호 차원에서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를 통해 프레온가스 사용을 줄였지만 그 효과가 곧바로 나타나진 않았다”며 “탄소 배출량이 줄어들더라도 그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탄소배출로 인한 해양산성화에 대한 이야기

GOA-ON은 하구-해안-외해 환경에서 해양 산성화의 요인,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 및 이해하고 모델링 연구를 최적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국제 협력 네트워크이다. 우리나라도 가입되어 있으며,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자료,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기지, 포스텍 선박관측자료 등이 공개되어 있다.

http://www.goa-on.org/

 

GOA-ON

GOA-ON is a collaborative international network designed to address three goal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global OA condition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ecosystem response to OA; and to acquire and exchange data and knowledge necessary to opt

www.goa-on.org

http://portal.goa-on.org/Explorer 캡쳐

 

이 네트워크는 해양 산성화가 자연 생태계, 야생 및 양식 어업, 해안 보호, 관광 및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기 경보 제공과 해양 산성화 영향을 해결하기 위한 계획, 모범사례, 완화 또는 적응 전략을 개발하려는 커뮤니티, 산업 및 정부에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해양의 산성화는 해수의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이 많아지면서 바다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 또한 증가하고 해양으로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물과 만나면서 탄산이 발생하게 되고 해양산성화가 진행되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온실가스 연보(No. 18)』 발간을 통해 2021년 대기 중 전 지구 온실가스 농도가 최대치를 경신하였으며, 특히 메탄 농도는 1,908ppb로 관측 이래 가장 가파른 증가값(2020년 대비 18ppb 증가)을 기록했다고 보고하였다.

 

기상청 고산기후변화감시소는 1990년부터 우리나라 최초로 온실가스 관측을 시작한 역사적인 관측소로, 현재 세계기상기구뿐 아니라 여러 국제협력 관계망에도 가입되어 있으며, 고산과 안면도 감시소에 관측된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 농도가 지속해서 상승하는 결과를 보여 해양산성화의 가속화가 예상된다고 밝힌다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이어도,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의 수온, 염분, 수심, pH 등 관측항목을 GOA-ON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1980년부터 2021년까지 전지구, 고산, 안면도의 이산화탄소 농도(좌)와 메탄농도(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