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반응형
▷ 주요 영향 요인
- 해수면 상승: 연안 침식, 범람, 염수 침입 등을 유발
- 폭풍 해일: 연안 지역 침수 위험 증가
- 해수 온도 상승: 해양 생태계 변화, 어종 변화 초래
- 해양 산성화: 해양 생물 서식 환경에 악영향
▷ 취약성 평가 방법
- 지형학적 취약성: 고도, 경사도, 해안선 특성 등 분석
- 사회경제적 취약성: 인구밀도, 토지이용, 경제활동 등 고려
- 생태계 취약성: 해양 생태계 구조 및 기능 변화 평가
▷ 평가 도구 및 모델
- GIS 기반 분석: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취약성 지도 작성
- 수치 모델링: 해수면 상승, 폭풍 해일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 통계적 분석: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미래 예측
https://nier.go.kr/naccc/front/contents/cntntsView.do?cntntsSn=140
기후변화 영향·취약성·리스크 개념 기후변화 영향이란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기후의 변화가 사회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합니다. 기후변화 취약성은 기후변화에 대하여 시스템의 적응역량정도를 상대적인 수치로 나타낸 결과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이 크고, 적응능력이 작으면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기후변화 리스크는 기후변화로 인한 기후변동과 취약성을 고려한 자연 및 인간 시스템에 미치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사건 발생으로 인한 결과이며, 위해성, 노출성, 취약성의 상호작용으로 표현합니다. |
❍ IPCC의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리스크 평가체계 - IPCC는 제4차 평가보고서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대한 정리와 적응 주체가 기후위험성을 인지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각 적응 대상이 기후변화에 취약한 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취약성 평가체계를 제안한 바 있고, IPCC 제6 차 평가보고서에서는 기후적응 대책의 수립 및 이행 필요성, 적응효과 등을 논의하기 위해서 리스크 평가체계를 제안하고 있음 - 적응대책 또는 적응옵션의 의사결정권자, 공간적인 단위 등이 사례별로 상이 하나 대상이 되는 적응대책 또는 적응계획에 따라서 리스크의 “식별-계획- 효과평가-모니터링”를 연계하는 것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 - 기후 적응과 완화는 동시에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 기후복원력 개발경로를 각 국가가 만들어갈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지속가능개발목표인 SDGs와 연계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CIDs(기후영향인자)는 하나의 지표 또는 통합지표로 기후영향의 진단, 평가, 적응대책의 효과평가 등을 할 수 있도록 체계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 체계는 VESTAP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후노출 인자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음 - IPCC 보고서가 발간되면서 전환되는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리스크 평가체계와 국제사회에서 합의된 용어, 개념을 국내 기후위기 적응대책, VESTAP, MOTIVE 등에도 반영될 필요가 있음 |
VESTAP과 MOTIVE의 주요 차이점 ○ 개발 목적 및 대상 ∘ VESTAP: - 기후적응 인식이 낮던 시기에 지자체 담당자가 취약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개발됨[1] -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함 ∘ MOTIVE: - 전문가 사용을 전제로 최근에 개발됨[1] - 모델 운용 및 분석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함 ○ 활용도 ∘ VESTAP: - 많은 지자체에서 적응대책 수립 시 사용하여 양적 측면의 활용성은 높음[1] - 그러나 결과가 실제 대책과 연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질적 활용성은 부족함 ∘ MOTIVE: - 2021년에 공개되어 현재까지 지자체에서 활용이 저조한 상태임[1] - 전문가가 부족하여 실제 활용이 제한적임 ○ 기능 및 특성 ∘ VESTAP: - 상대적으로 단순화된 평가 도구 - 지자체 담당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됨 ∘ MOTIVE: -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모델링 기능 제공 - 전문적인 분석과 평가가 가능함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두 도구의 특성을 제대로 인지하고 현 시점에 맞는 계획 지원을 위해 관련 도구의 고도화 방향 설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 적응 대책 수립
- 연안 방재 시설: 방파제, 제방 등 강화
- 토지이용 계획: 취약 지역 개발 제한, 완충 구역 설정
- 생태계 기반 적응: 맹그로브 숲, 염습지 등 자연 방어 시스템 활용
▷ 국제 사례
- IPCC 연안 시스템 평가: 전 세계 연안 지역 취약성 종합 평가
- EU 연안 적응 프로젝트: 유럽 연안 국가들의 공동 대응 전략 수립
▷ 요약
연안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는 해수면 상승, 폭풍 해일, 해수 온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평가 방법으로는 지형학적, 사회경제적, 생태계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GIS, 수치 모델링, 통계 분석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합니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연안 방재 시설 강화, 토지이용 계획 수정, 생태계 기반 적응 등의 대책을 수립합니다.
국제적으로는 IPCC의 종합 평가와 EU의 공동 대응 전략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와 대책은 연안 지역의 기후 복원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728x90
'기상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정보] 제18호 태풍 끄라톤, 대만 통과하며 약화 전망 (19) | 2024.10.01 |
---|---|
[태풍정보]다음주 개천절 휴일 '초강력' 17, 18호 태풍 제비·끄라톤 발생 (18) | 2024.09.28 |
[기후변화] 라니냐 형상으로 영하 18도까지 내려가는 강추위 예상 (13) | 2024.09.23 |
[주말 날씨] 늦더위 물러나니 장마철처럼 비…20~21일 전국에 집중호우 (14) | 2024.09.19 |
[오늘의날씨]서울에 사상 첫 9월 폭염경보 발령 (14)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