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제비
대만, 한국, 일본의 일부 무인도에서 번식한다. 비번식기에는 중국 남부, 인도양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구굴도, 칠발도, 독도 그리고 난도 등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만 집단번식하는 여름철새다. 5월 초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10월 중순까지 머문다.
한국 서해에 사는 바닷새 대부분이 해양쓰레기에 노출됐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https://blog.kakaocdn.net/dn/Nel8p/btsrgRWCBXP/ydijLumHZkI9EnSYbSmmJk/img.jpg)
15일 바닷새연구소 김미란 박사 등이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 최신호에 게재한 '한국 바다제비 성조와 유조의 해양쓰레기 섭취' 논문에 따르면 2013∼2014년 전남 신안군 칠발도에서 쇠무릎 등 외래식물에 걸려 죽은 바다제비 사체 146구 가운데 145구(99.3%)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검출됐다.
이는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흰허리바다제비와 남극에 사는 윌슨바다제비의 플라스틱 쓰레기 검출률 87.5%, 75%보다 높은 수치다.
칠발도 바다제비에게서 나온 플라스틱 쓰레기의 평균 무게는 51㎎이고 평균 길이는 4㎜였다.
유조(어린 새)에게는 파편 형태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성조(다 자란 새)에게는 실같이 생긴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장 많이 나왔다. 또 성조는 어망으로 추정되는 초록색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섭취했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성조보다 유조에 많이 쌓여있었다. 유조는 한 마리당 24.3점, 성조는 한 마리당 15.2점을 섭취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유조의 63%, 성조의 24%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몸무게의 0.1%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유조에게 먹이를 주는 과정에서 성조 몸에 쌓여 있던 플라스틱 쓰레기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흔한 여름철새인 바다제비는 온몸이 암갈색이고 몸길이가 20㎝ 정도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에 분포하며 전 세계 바다제비 70%가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번식지인 전남 신안 칠발도와 구굴도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https://blog.kakaocdn.net/dn/kUqcl/btsrjqjVccl/HCt3wVBOqhZhsvOebeCjg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6Ggfo/btsrgSunrVw/LokEI2B9uaf79ersMYHH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kZTHz/btsq5Z2PVPI/2BdCjTFDkORZKneeY0DN6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Bvnv0/btsrdkysuo6/27yBZ33uBfr6PC8cGoKPlk/img.png)
바다제비 - Daum 검색
Daum 검색에서 바다제비에 대한 최신정보를 찾아보세요.
m.search.daum.net
'해양수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항 북항 마리나에 기계식 요트 주차건물 생긴다 (48) | 2023.08.17 |
---|---|
2023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 보고서 발행 안내 (25) | 2023.08.16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후…일본, 원전 주변 물고기 한달간 매일 조사 (13) | 2023.08.11 |
대한민국 수산대전 여름휴가 특별전. 전복, 바다장어 등 우리 수산물 최대 반값 할인 (20) | 2023.08.07 |
이안류 발생으로 해운대 바다 입수 금지 (23)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