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수산

2024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 보고서

by 오션지키미 2024. 9. 19.
320x100
반응형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정책결정자·어업인을 위한 요약

 

1. 국내·외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과학 및 정책 이슈

 

˙전 지구 기후변화가 기존 전망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범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며, 수산분야 기후위기 대응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임

 

˙기후변화에 취약한 우리나라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과 정책수립 지원을 추진할 계획임

 

2.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전망 및 적응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해양온난화, 산성화 및 빈산소화 등 전 지구 해양의 기후변화 영향이 우리나라 바다에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이상수온 및 빈산소수괴 발생에 따른 양식생물 피해 증가, 독성해파리 출현, 패류독소 및 양식생물

질병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 가능한 수산업 발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음

 

˙수산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신속·정확하고 광범위한 수산재해 발생 감시 체계를 확립하며, 정확도 높은 예측 기술 개발 및 효율적인 예측시스템 운영과 더불어 신속한 자료·정보 전달이 가능한

서비스 체계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임

 

˙수산분야의 기후변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어업 현장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함

 

˙최신 기후변화 예측자료를 활용하여 수산분야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리스크를 새롭게 평가하고,

후변화 적응 및 완화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임

 

 

3. 기후변화와 수산자원 변동

˙기후변화가 수산자원의 어장변동과 어획량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수산자원의 변동에 대해 최 신의 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자료를 축적하여 생태계 기반의 수산자원 관리 가 가능하도록 체계를 확립해 나갈 계획임

˙기후변화를 고려한 자원평가를 바탕으로 자원관리 대상종별 목표 자원량을 설정하고, 주요 어종의 해역별 분포 및 자원량 변동을 예측하여 금어기·금지체장 등의 어업규제를 재설정하는 등 수산자원 변동에 대응한 정책 지원이 필요함

 

˙변화된 서식·생태 환경에 따른 산란·서식장 보호, 바다숲 조성 등을 통한 수산자원 증대와 기후변화 에 취약한 지역에 대한 보호구역 설정이 요구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