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반응형
SMALL
최근 50여 년간 서울 등 7개 지점 첫 9월 폭염, 춘천 등 4개 지점 첫 9월 열대야
- 폭염일수 평년(0.2일)보다 많은 6.0일, 열대야일수 평년(0.1일)보다 많은 4.3일
- 9월 강수량 241.0mm, 20~21일 이틀간 많은 비(전국 170.7mm, 창원 529.4mm)
- 9월 우리나라 해수면온도 27.4℃로 최근 10년 대비 3.2℃ 높아 1위
□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2024년 9월 기후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여름철 기승을 부렸던 폭염과 열대야가 9월 중순까지 이어졌고, 일부 지역에서는 1973년 이래 첫 9월 폭염과 열대야가 나타났다.
○ 20~21일에는 더위가 물러남과 동시에 전국 곳곳에서 많은 비가 내려 피해가 컸다.
□ [기온] 9월 전국 평균기온은 24.7℃로 평년(20.5℃)보다 4.2℃ 높았다(1973년 이래 1위).
※ 9월 평균기온 순위: (1위) 2024년 24.7℃, (2위) 2023년 22.6℃, (3위) 1975년 22.2℃,
(4위) 1999년 22.0℃, (5위) 2010년 21.6℃
○ (9월 상순~중순) 7월 하순부터 우리나라 상공을 동시에 덮고 있던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9월 중순까지 이어지며 폭염이 발생했고, 대기 하층에서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남쪽에서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습도가 높아 열대야도 꾸준히 발생했다. <붙임 3의 그림 1 참고>
- 전국 주요 기상관측지점 66곳 중 총 46곳에서 9월 일최고기온 극값 최고 1위를 경신하였다.
※ 9월 일최고기온 극값 최고 1위를 기록한 46개 지점 중 상위 10개 지점(℃/날짜): 밀양(37.4/9.19.), 정읍(37.3/9.19.), 보령(37.1/9.19.), 금산(36.5/9.10.), 의성(36.4/9.10.), 청주(36.2/9.10.), 대전(36.0/9.10.), 안동(36.0/9.10.), 구미(35.9/9.17.), 광주(35.8/9.19.)
○ (9월 하순) 상층의 두 고기압이 물러나면서 더위가 누그러졌으나, 하층의 이동성고기압 영향으로 맑은 날이 많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다.
○ (폭염) 9월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6.0일(평년 0.2일)로 역대 1위를 기록했으며, 연간 폭염일수는 9월까지 30.1일(평년 11.0일)로 2018년(31.0일) 다음으로 많았다. <붙임 4 참고>
※ 9월 폭염일수 최다 순위: (1위) 2024년 6.0일, (2위) 2010년 1.3일, (3위) 1994년 1.2일
※ 연간 폭염일수 최다 순위: (1위) 2018년 31.0일, (2위) 2024년 30.1일, (3위) 1994년 29.6일
- 지점별 9월 폭염일수는 완도에서 13일로 가장 많았고, 대전 11일, 대구 8일, 부산 7일, 서울에 6일 발생했다.
- 서울, 서산, 강화, 이천, 보은, 고산, 장수 7개 지점에서는 1973년 이래 첫 9월 폭염이 발생했다.
○ (열대야) 9월 전국 평균 열대야일수는 4.3일(평년 0.1일)로 역대 1위를 기록했으며, 9월까지 연간 열대야일수 역시 24.5일(평년 6.6일)로 역대 가장 많았다. <붙임 5 참고>
※ 9월 열대야일수 최다 순위: (1위) 2024년 4.3일, (2위) 1992년 0.9일, (3위) 1990년 0.7일
※ 연간 열대야일수 최다 순위: (1위) 2024년 24.5일, (2위) 1994년 16.8일, (3위) 2018년 16.6일
- 지점별 9월 열대야일수는 제주에서 19일로 가장 많았고, 부산 15일, 인천 10일, 서울 9일, 대전에 6일 발생했다.
- 춘천, 양평, 금산, 임실 4개 지점에서는 1973년 이래 첫 9월 열대야가 발생했다.
□ [강수량] 9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241.0mm로 평년(155.1mm)보다 85.9mm 더 많았다(1973년 이래 12위, 평년 강수량의 154.6% 수준).
○ (9월 상순~중순) 9월 19일까지 상층 기압골의 영향은 없었으며, 주로 대기 불안정에 의한 비가 내렸다.
○ (9월 20~21일 많은 비) 20일과 21일은 남쪽으로 물러나는 북태평양고기압과 우리나라 북쪽에서 일시적으로 확장한 찬 대륙고기압 사이에서 발생한 정체전선과 우리나라로 접근하는 열대저압부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붙임 3의 그림 2 참고>
- 열대저압부가 남해안으로 접근하면서 우리나라에 걸쳐있던 정체전선에 다량의 수증기를 공급하였고, 특히 남해안 일부 지역에 300mm 이상의 매우 많은 비가 내렸다.
※ 전국 주요 기상관측지점 66곳 중, 9월 20~21일 이틀간 누적 강수량이 300mm 이상 내린 지점: 창원 529.4mm, 부산 403.4mm, 거제 381.2mm, 장흥 357.6mm, 진주 307.4mm
※ 전국 주요 기상관측지점 66곳 중 2024년 9월 일강수량 극값 최다 1위 경신한 지점
날짜 | 지점명 | 일강수량 | 날짜 | 지점명 | 일강수량 |
9.20. | 서산(충남 서산시) | 221.8mm | 9.21. | 장수(전북 장수군) | 192.1mm |
9.21. | 창원(경남 창원시) | 397.7mm | 청주(충북 청주시) | 153.0mm | |
부산(부산 중구) | 378.5mm | 군산(전북 군산시) | 145.0mm | ||
거제(경남 거제시) | 348.2mm |
※ 2024년 9월 1시간최다강수량 100mm 이상 기록한 지점
날짜 | 지점명 | 1시간최다 강수량 |
날짜 | 지점명 | 1시간최다 강수량 |
9.21. | 진도군(전남 진도군) | 112.2mm | 9.21. | 창원(경남 창원시) | 104.9mm |
진북(경남 창원시) | 109.5mm | 산이(전남 해남군) | 101.0mm | ||
진도(레)(전남 진도군) | 106.5mm |
○ (9월 하순) 9월 22일 이후, 우리나라 북쪽으로 지나는 이동성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놓이며 북동풍이 주로 불면서 산맥에 의한 지형적인 효과로 동해안을 중심으로 비가 내렸다.
- 특히, 동해 지점에서는 27~28일 이틀간 89mm의 비가 내렸다.
□ [해수면온도] 2024년 9월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면온도는 27.4℃로 최근 10년(2015~2024년) 평균(24.2℃)보다 3.2℃ 높았다(최근 10년 중 1위).
○ 서해의 해수면온도는 26.7℃로 최근 10년 평균(23.1℃)보다 3.6℃ 높아 다른 해역에 비해 편차가 가장 컸다. <붙임 2 참고>
※ 해역별 해수면온도(편차): 서해 26.7℃(+3.6℃), 남해 28.5℃(+3.2℃), 동해 26.9℃(+2.8℃)
□ [고온 관련 기후학적 원인] 2024년 9월 우리나라 주변에 고기압성 흐름을 강화시키고 고온을 유발한 기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붙임 3의 그림 1 참고>
○ (북인도양 대류 활동 증가) 9월 상~중순 북인도양 대류 활동이 증가하여 티베트고기압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나라 상층에서는 고기압성 흐름이 발달하였다. 이에 따라 맑은 날이 많아 햇볕의 영향이 컸다.
○ (필리핀 부근 대류 활동 증가) 북서태평양에서는 필리핀 부근에서 대류 활동이 증가하여 북쪽으로 전파되는 대기 파동(필리핀 부근 저기압 → 우리나라 동쪽 고기압 → 오호츠크해 부근 저기압)에 의해 우리나라 동쪽 중~하층에서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하였고,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우리나라로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었다.
□ 장동언 기상청장은 “이례적으로 여름철 더위가 9월 중순까지 이어졌으며, 길었던 더위가 물러나자마자 기록적인 호우로 인해 곳곳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라며,“기상청에서는 기후변화로 달라지는 기상 재해의 양상을 면밀히 감시하여 국가적 대응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728x90
'기상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케인 밀턴을 연구하는 NOAA 과학자들의 현장 연구. 플로리다 주민 대피령 (23) | 2024.10.12 |
---|---|
[기후변화] 매년 사라지는 남극 빙하의 70%는 스웨이츠 빙하와 파인아일랜드 빙하 등 서남극에서 발생 (55) | 2024.10.08 |
[태풍정보] 제18호 태풍 끄라톤, 대만 통과하며 약화 전망 (19) | 2024.10.01 |
[태풍정보]다음주 개천절 휴일 '초강력' 17, 18호 태풍 제비·끄라톤 발생 (18) | 2024.09.28 |
연안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방법 (18)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