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상기후

‘귤=제주도’는 옛말···기후변화가 바꾼 ‘작물 지도’. 전북에서 귤농사 농가 늘어. 전남/경북 아열대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대한 조례 신설

by 오션지키미 2023. 12. 4.
320x100
반응형
경상북도와 전라남도에서 아열대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대한  조례는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아열대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지역에서 특화작목 육성 지원을 위한 지역농업 인적 네트워크 활성화 지도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에는 순환식 수경재배 지원센터 운영 및 현장 기술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역 아열대작물 재배, 신소득작목 발굴 등 다양한 연구와 기술지원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열대농업 육성 및 지원에 대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세종시에서 온 김도연군(7)이 전북 익산시 목천동의 한 감귤체험농장에서 주렁주렁 열린 귤을 따고 있다. 김창효 선임기자

지난달 29일 전북 익산시 목천동 감귤 따기 체험농장인 귤탱이농장’. 비닐하우스 농장을 찾은 아이들은 감귤나무 사이를 분주하게 오가며 귤을 직접 따서 더 재미있고 맛있어요라고 말했다. 세종시에서 남매를 데리고 온 구서현씨(38)제주에 가지 않고도 아이들이 직접 감귤나무를 관찰할 수 있어 체험 학습을 위해 찾아왔다고 말했다.

집중육성 지역특화작목

7년 전 도시 생활을 정리하고 고향으로 귀농해 4000규모의 귤 농사를 짓고 있다는 국주연씨(44)익산은 제주보다 일조량이 많고 토질도 양분이 풍부해 감귤 품질이 우수하다라고 말했다.

 

 

4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에서만 현재 174곳의 농가가 귤을 재배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재배지가 점차 북상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6~8월 평균기온은 최근 10년 동안(2013~2022) 24.3도로 과거보다 0.6도 올랐다. 이로인해 =제주도라는 기존 공식이 깨지고 있는 것이다.

 

기후변화는 전북뿐 아니라 전국의 작물 지도까지 바꾸고 있다. 전북의 경우 아열대 작목으로 과수 10(122)을 재배하고 있다. 한라봉·천혜향 등 만감류를 비롯해 백향과·구아바·망고·바나나·커피 등이 있다.

 

과수재배가 많은 경북 지역은 2015년부터 아열대 작물 재배 시범사업을 추진해 현재 한라봉·애플망고·바나나6백향과 등을 재배하고 있다. 재배면적은 올해 22개 시·군 중 18개 지역에서 44를 재배하고 있으며 매년 상승하고 있다.

 

추운 날씨로 열대식물 재배를 엄두도 못 냈던 강원 지역에서도 기후 변화 대응 차원에서 현재 70~80여 농가가 양구에서 10여 년 전부터 멜론 농사를 짓고 있다. 고랭지배추 주산지로 유명한 태백에서는 알로에 재배가 시작됐다.

 

전북 익산시 목천동의 한 감귤체험농장에서 김다연양(4)이 귤을 따고 있다. 김창효 선임기자

 

농촌진흥청의 ‘2023 아열대작물 재배현황에 따르면 전국 재배면적 4126ha 중 전남이 2453ha(59%)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어 경남 1091ha, 제주 399ha, 전북 84ha, 울산 22ha, 경기 20ha 등의 순이다.

 

전남의 경우 20204월 전국 최초로 아열대농업 육성 및 지원조례를 만들어 관련 작물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또 국립기관인 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해남·2025년 완공 예정)아열대작물 실증센터’(장성·2024년 완공 예정)를 유치한 상태다.

 

 

경북은 대표 농산물인 사과가 2030년 이후 영양·봉화를 제외한 모든 시·군에서 재배가 힘들 것으로 내다보고 2021년부터 경북도 아열대농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전문단지 조성 등 아열대 농업에 투자하고 있다.

 

전북에서도 전라북도 기후변화 대비 작물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됐다. 또 관련 수확물은 공공기관에서 우선 구매하는 등 신소득작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정부 차원에서 아열대 농업을 육성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성문호 전북농업기술원 연구관은 지자체마다 아열대 과수 육성 시범 사업에 뛰어들면서 과수 품종과 재배 면적이 늘고 있지만 해결할 문제점도 있다면서 유통구조 개선과 생산 관련 연구개발 지원 등에 대해선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s://fliphtml5.com/lukuo/woke/%EC%A0%9C1%EC%B0%A8_%EC%A7%80%EC%97%AD%ED%8A%B9%ED%99%94%EC%9E%91%EB%AA%A9_%EC%97%B0%EA%B5%AC%EA%B0%9C%EB%B0%9C_%EB%B0%8F_%EC%9C%A1%EC%84%B1_%EC%A2%85%ED%95%A9%EA%B3%84%ED%9A%8D_2022%EB%85%84%EB%8F%84_%EC%8B%9C%ED%96%89%EA%B3%84%ED%9A%8D%28%EC%95%88%29/

 

제1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 2022년도 시행계획(안)

 

fliphtml5.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