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반응형
SMALL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 발표…홍수경보 인근 지날 때 내비 안내
다목적댐 20곳에 홍수조절용량 최대 61억 4000만㎥ 확보
환경부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더 빠르고 촘촘한 홍수예보를 추진해 예보지점을 그동안 대하천 중심 75곳에서 지류·지천을 포함한 223곳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안내, 침수우려지역 확인 등을 통해 정보를 쉽게 알 수 있게 제공하고, 다목적댐 20개에 홍수조절용량 최대 61억 4000만㎥의 물그릇을 확보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예측하기 어려운 집중호우 등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에 대한 사전 대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집중호우에도 홍수대응 방안이 실제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간 긴밀히 협조해 여름철 홍수대책을 추진한다.
이번 대책은 국민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해 과학에 기반하고, 현장에서 작동되는 홍수 안전체계 마련을 위해 ▲인공지능 홍수예보 ▲국민체감형 정보 제공 ▲취약지역 사전 대비 ▲홍수 대비 물그릇 확보 ▲현장 대응역량 강화 등 5가지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 디지털플랫폼 기반 과학적 홍수예보
환경부는 디지털플랫폼 기반의 과학적 홍수예보를 위해 첨단기술을 적용한 인공지능(AI) 홍수예보를 본격 시행한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홍수예측을 자동화하고 예보관 판단을 지원함에 따라 더 많은 지점에 대한 예보가 가능하게 됐다.
이를 통해 예보지점을 그동안 대하천 중심 75곳에서 지류·지천을 포함한 223곳으로 대폭 확대한다.
홍수 발생 전에 하천의 수위를 예측하는 예보뿐만 아니라, 전국에 설치한 수위관측소(673곳)에서 하천수위를 1분 주기로 관측(모니터링)해 수위 상승 등 위험 상황을 관계기관에 전파한다.
하천의 수위 예측과 함께 도시지역 침수에 대해서도 예보를 확대한다.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한 서울 도림천 도시침수예보를 올해에는 광주(황룡강), 포항(냉천), 창원(창원천) 지역까지 확대해 운영한다.
하천과 하수관로 수위 등을 확인해 침수가 예상되는 상황을 지자체에 알리고, 지자체에서 신속하게 주민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홍수로 인한 침수에 대응하기 위해 홍수위험지도의 활용도를 높인다.
◆체감할 수 있는 홍수정보 제공
환경부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홍수정보 제공을 위해 올해부터 처음으로 차량 운전자가 홍수경보 발령지점이나 댐 방류지점 부근 진입 때 내비게이션이 안내토록 해 저지대와 같은 위험지역에서 운전을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홍수주의보·홍수경보 알림 문자는 개인별 핸드폰 위치정보(GPS)를 활용해 본인이 침수우려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와 인근 침수우려지역 지도를 함께 제공해 위험지역을 신속히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관계기관에는 빈틈없이 홍수예보 등 위험 상황을 알린다.
기존에는 팩스(FAX), 문자(SMS)로만 전파했지만 올해부터는 보이스 메시지 시스템(VMS)과 재난안전통신망 등도 추가하고 책임감 있는 현장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자체 부단체장에게 직접 홍수 위험상황을 전달한다.
◆하천·하수도 등 취약지역 사전 대비
환경부는 하천·하수도 등 취약지역 사전 대비를 위해 제방 등 하천시설과 하천점용 공사 현장 등에 대해 전문기관(하천협회)과 합동으로 실시한 일제점검을 지난달에 완료했다.
이어, 홍수기(6.21~9.20) 전까지 미흡한 사항에 대한 보수·보강 등의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완료할 계획이다.
하천공사 현장을 포함해 취약한 구간은 전문기관과 합동 조사 후 홍수취약지구로 추가 지정해 집중 현장 점검을 통해 관리하고, 하천 합류부와 협착부 등 물 흐름에 지장이 있는 곳은 수목 제거와 퇴적토 준설 등을 홍수기 전까지 최대한 완료한다.
지자체가 홍수기 전까지 하수관로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빗물받이를 점검·청소하도록 협조하여 도시침수를 예방한다.
지자체가 침수 위험지역에 맨홀 추락방지시설도 설치하도록 하고 설치된 시설은 집중 점검하도록 관리한다.
◆선제적 댐 방류 등 홍수 대비 물그릇 확보
환경부는 선제적 댐 방류 등 홍수 대비 물그릇 확보를 위해 집중호우 때 최대한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다목적댐(20개)에 대해 홍수기 전까지 집중 방류를 통해 홍수조절용량을 최대한 확보(61억 4000만㎥)한다.
환경부가 관리하는 다목적댐뿐만 아니라 관계기관 간 협업해 발전용 댐(7곳, 한국수력원자력)과 농업용 댐(36곳, 한국농어촌공사)에 대해서도 사전 방류 등 홍수에 대비한다.
특히, 지난해 월류가 발생한 괴산댐은 홍수기 제한수위를 지난해보다 3미터 하향해 운영하는 등 홍수조절용량을 추가 확보한다.
임진강과 북한강 유역 등 접경지역에 대해서는 위성 직수신 안테나 설치로 위성영상을 통한 관측(모니터링)을 고도화해 북측 댐의 예고 없는 방류 등에 대비한다.
◆현장 중심의 대응역량 강화
환경부는 현장 중심의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지난해 말까지 국가하천 전 구간(3602㎞)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설치한 8000여 대의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활용해 현장상황을 적기에 확인하고 관계기관에 전달함으로써 현장대응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지자체도 해당 폐쇄회로텔레비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운영해 대응능력을 높인다.
물재해종합상황실을 홍수대응 지휘본부(컨트롤타워)로 운영해 홍수예보 및 실시간 하천수위 등 현장 상황을 꼼꼼하게 관측하고 위기상황에 대응한다.
또한 올해부터 환경부는 지자체의 현장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해 소통과 훈련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홍수기 전 남은 기간 하천공사 현장 점검 및 조치 등을 신속히 완료해 홍수 대응에 사각지대가 없게 하겠다”고 밝히고 “올여름 집중호우로부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홍수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환경부 물관리정책실 물재해대응과(044-201-7652), 하천계획과(044-201-7702), 하천안전팀(044-201-7537), 수자원개발과(044-201-7689), 생활하수과(044-201-7025)
728x90
'기상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상기후] 美 역대급 허리케인 발생으로 한국의 정유사에 득일까 실일까? 기후변화로 살펴보는 한국 석유 전망 (55) | 2024.06.03 |
---|---|
[기후변화] 타산지석으로 보는 일본의 극한호우 대비법. 지하시설물 거대신전 조압수조 (57) | 2024.05.30 |
[해양기상] 서해 대설·황사·호우 징후, 한발 앞서 잡아낸다. 안마도 해양기상관측기지 개소운영 (85) | 2024.05.30 |
[기상기후] 관측 사상 제일 '뜨거운 바다'...올여름 한반도에 '괴물태풍' 상륙 (42) | 2024.05.30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대응 협의회(K-IPCC) 발족, 제7차 평가주기 대응 역량 강화 (72) | 2024.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