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207)
-
[해양수산] 김(K-GIM) 수출 1조 원 달성! 해양수산부, 역대 최고 수출 기록 경신
해양수산부, 역대 최고 수출 기록 경신 기념 행사 개최2년 연속 김 수출 1조 원 달성해양수산부는 11월 26일, 올해 김 수출액이 2년 연속 1조 원을 달성했으며, 지난 10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 수출 기록인 8.5억 달러를 경신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같은 날 오후 3시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에서 김 수출액 경신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습니다.김 수출의 성장과 확대우리나라는 세계 김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김 수출액은 2010년 1.1억 달러에서 2023년 7.9억 달러까지 7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또한, 김을 수출하는 국가도 2010년 64개국에서 2023년 122개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올해는 김 인지도 향상과 수출업체에 대한 지원 덕분에 전년 대비 약 27% 증가한 ..
2024.11.26 -
[해양환경] 해수부, 갯벌생태조사 결과 집대성한 ‘한국의 갯벌’ 발간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은 최근 우리나라 갯벌의 생태학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한국의 갯벌'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이 책자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지난 8년간(2015~2022) 수행된 갯벌생태조사 결과를 집대성하여 제작되었습니다.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사 범위: 우리나라의 37개 행정시·군에 걸친 주요 갯벌을 대상으로 수행된 조사 및 분석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 분석 내용: 퇴적환경, 대형저서동물, 염생식물, 바닷새 등 갯벌 생태계를 세밀하게 분석하였으며, 전국 주요 갯벌의 과학적 자료를 종합하여 현 상태와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출판 및 기대 효과: 한국 갯벌의 우수성과 보전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영문판도 함께 출판되어 국제사회의..
2024.11.13 -
HF-Radar 국제협력 네트워크 및 국내 현황
HF-Radar 국제협력 네트워크 현황 고주파해양레이더(High Frequency Ocean Radar, 이하 HFR)는 육상에서 3~45MHz 대역의 전자파 송수신을 통해 15~200km 반경 해역의 표층 해수유동장(유향·유속)을 관측하는 장비이다. 2000년부터 국가간 HFR 운영 확대와 연구 및 기술 교류가 시작되었고 2010년대부터 국가간 네트워크 체계를 구성하는 흐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FR 관련 국제협력 네트워크는 크게 미국 주도로 설립된 글로벌 HFR 네트워크(http://global-hfradar.org )와 유럽 내 국가간 HFR 통합운용을 목적으로 설립된 EuroSea D3.4(https://eurosea.eu) 두 가지가 있다. 글로벌 HFR 네트워크는 HFR 관련 기술 홍보,..
2024.11.05 -
AMOC(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관측의 중요성
AMOC 관측의 중요성AMOC는 서유럽 기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세기 안에 약화 될 것이라는 예측이 기후 모델을 통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NOC는 AMOC 관측을 위해 NOAA, Miami 대학 등 여러 기관과 협력하여 RAPID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 (AMOC)은 해양에서 북쪽으로 1.2PW의 열을 운반합니다. 이는 지구의 대기와 해양의 극 방향 열 수송의 4분의 1에 해당하며, 120만 개의 발전소가 내는 전력과 같습니다. MOC는 기후 변화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기후 변화에 취약합니다. 지난 10만 년 동안, 지구 기후의 급격한 변화(예: 그린란드 기온의 10도 변화)가 MOC의 중단으로 설명되었습니다. 현재 기후에..
2024.11.05 -
10월 25일은 독도의날. 미국·일본인이 내놓은 '한국땅'이라는 증거
독도위치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 번지 경위도동도(동경 131°52′10.4″,북위 37°14′26.8″), 서도(동경 131°51′54.6″,북위 37°14′30.6″) 면적187,554㎡(동도 73,297㎡, 서도 88,740㎡, 부속도 25,517㎡) 독섬·돌섬이라고도 하며, 면적은 18만 7,554㎡이다.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4㎞ 떨어진 해상에 있으며, 동도(東島)·서도(西島) 및 그 주변에 흩어져 있는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다. 동도는 동경 131° 52′ 10.4″, 북위 37° 14′ 26.8″에, 서도는 동경 131° 51′ 54.6″, 북위 37° 14′ 30.6″에 위치한다. 동도·서도간 거리는 151m로 좁은 수도(水道)를 이룬다. 동도는 해발고도 ..
2024.10.26 -
해수부, 갯벌생태해설사 양성으로 갯벌 생태관광 활성화 기반 마련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관광 활성화의 일환으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를 국내 최초의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기관(이하 양성기관)으로 지정하였다고 밝혔다. * 에너지·기후변화 등에 대한 체험교육 제공을 위해 2012년 개관한 서울시 수탁기관 갯벌생태해설사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해양생태계에 대한 해설・홍보・교육・생태탐방 안내 등을 하는 해양생태관광 전문가이다. 갯벌생태해설사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80시간의 이론・실기 교육*을 이수하고, 필기시험과 해설 시연평가에 합격해야 한다. * 해설안내, 갯벌생태계의 이해, 인문사회환경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등 4개 분야로 구성 이번에 양성기관으로 지정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갯벌생태해설사 교육과정 신청 접수부터, 운영, 교육생 평가 및 해설사 자격..
2024.10.21 -
해일주의보 속 만조 겹치면서 태안 붉은노을축제장 물바다
10월 20일 오후 한때 폭풍해일주의보가 발령된 충남 태안 바닷가 축제장에 바닷물이 밀려들면서 행사장이 물바다가 됐다. 태안군민 등에 따르면 만조시간이던 이날 오후 6시께 원북면 학암포 붉은노을축제장에 바닷물이 어른 발목 높이 넘게 차오를 정도로 밀려들었다. 당시 축제장에서는 해변가요제에 이어 경품 추첨이 진행 중이었는데, 현장에 있던 100여명은 허둥지둥하며 대피했다. 태안 해안에는 오후 4시를 기해 폭풍해일주의보가 발령됐다. 주의보는 오후 6시 40분 해제됐다. 해경도 조류 흐름이 강하고 조석 간만의 차가 커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며, 지난 15일부터 연안 안전사고 위험 주의보를 발령한 상태였다.
2024.10.21 -
해수부, 갯벌생태해설사 양성으로 갯벌 생태관광 활성화 기반 마련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관광 활성화의 일환으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를 국내 최초의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기관(이하 양성기관)으로 지정하였다고 밝혔다. * 에너지·기후변화 등에 대한 체험교육 제공을 위해 2012년 개관한 서울시 수탁기관 갯벌생태해설사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해양생태계에 대한 해설・홍보・교육・생태탐방 안내 등을 하는 해양생태관광 전문가이다. 갯벌생태해설사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80시간의 이론・실기 교육*을 이수하고, 필기시험과 해설 시연평가에 합격해야 한다. * 해설안내, 갯벌생태계의 이해, 인문사회환경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등 4개 분야로 구성 이번에 양성기관으로 지정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갯벌생태해설사 교육과정 신청 접수부터, 운영, 교육생 평가 및 해설사 자격..
2024.10.16 -
[해양정보] 대조기 해안침수, 안전하게 대비하는 방법
## 대조기 해안침수, 안전하게 대비하는 방법!1. 대조기 해안침수, 왜 위험할까? 대조기란? * 달의 인력과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해수면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 * 보름달이나 그믐달 무렵에 조수 간만의 차가 가장 커지는 시기. **해안침수의 위험성** -저지대 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 발생- 해안도로 유실, 항만 시설 파손 등 사회기반 시설 피해- 해양 생태계 교란 2. 대조기 해안침수,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해양수산부- 조위 관측 시스템 운영 및 실시간 정보 제공 (고조정보서비스, www.khoa.go.kr/hightide )- 해안침수 취약 지역 지정 및 관리- 해안 방재 시설 확충- 주민 대상 홍보 및 교육 *지자체- 해안가 저지대 침수 대비 계획 수립 및 실행- 배..
2024.10.15 -
[해양수산] 이상기후로 꽃게 생산량 급감, 가격 상승 예고! 어촌 경제에 빨간불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해 꽃게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어촌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또한, 북한과 인접한 서해 연평어장에도 가을 어기가 시작된 지난달 연평어장의 꽃게 어획량이 지난해보다 눈에 띄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해 인근 해상에서 불법 조업하는 중국어선이 늘어난 점도 어민들의 걱정거리입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꽃게 생산이 크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꽃게 어선주들에게 큰 경제적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상기후로 인해 꽃게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꽃게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상기후로 인해 꽃게 농장주들은 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꽃게 생산량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2024.10.10 -
2024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 보고서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정책결정자·어업인을 위한 요약 1. 국내·외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과학 및 정책 이슈 ˙전 지구 기후변화가 기존 전망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범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며, 수산분야 기후위기 대응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임 ˙기후변화에 취약한 우리나라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과 정책수립 지원을 추진할 계획임 2.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전망 및 적응˙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해양온난화, 산성화 및 빈산소화 등 전 지구 해양의 기후변화 영향이 우리나라 바다에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이상수온 및 빈산소수괴 발생에 따른 양식생물 피해 증가, 독성해파리 출현, 패류독소 및 양식생물..
2024.09.19 -
금어기 이후 9월에는 어린 주꾸미가 많아. 가을철 어린 주꾸미 보호 필요
연중 어획량이 가장 많은 3월과 4월 어획량 지난해 대비 17% 감소 금어기 종료 후 9월에는 어린 주꾸미가 주를 이루어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8월 31일로 금어기*가 종료되어 어획이 시작되는 주꾸미의 자원관리를 위해 어린 주꾸미 보호를 당부했다. * 주꾸미 금어기: 5.11~8.31 수과원 서해수산연구소에 따르면, 작년 주꾸미의 성숙 체중*은 인천에서 41g, 전남해역에서 38g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7년 성숙 체중(55g)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자원량 감소에 따라 조기 성숙을 통해 집단을 유지하려는 주꾸미의 생태적 생존 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성숙 체중(50%): 개체군의 50%가 산란할 수 있는 체중 주꾸미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
2024.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