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공지능 (38)
정보 전문가

검지와 감지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용어의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검지 (Detection)의미: 특정한 물체나 현상을 찾아내거나 확인하는 것.사용 맥락: 주로 물리적이고 명확한 대상이나 상황을 찾아내는 데 사용됩니다. 예시:- 검지 센서: 특정 물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센서.- 검지 카메라: 특정 상황이나 물체를 촬영하여 확인하는 카메라.- 방법: 주로 기계적, 전자적 장치를 통해 특정 대상의 존재 여부를 확인합니다.2. 감지 (Sensing)의미: 특정한 신호나 변화를 느끼거나 알아차리는 것.사용 맥락: 주로 무형적이거나 미세한 변화를 인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시:- 초음파 감지: 초음파를 통해 물체의 위치나 움직임을 감지.- 온..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걱정없는 AI 학습 원천데이터... 영상, 이미지, 언어, 자율주행 등 8종 700만개 공개한국저작권위원회(이하 위원회)는 국민들이 저작권 걱정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학습 원천데이터를 확보 부담 경감 및 저작권 문제 해소를 위해 2022년부터 공유저작물을 활용한 인공지능 씨앗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https://gongu.copyright.or.kr/gongu/main/main.do 공유마당공유마당gongu.copyright.or.kr2023년 말 기준 영상, 이미지, 언어, 자율주행 등 8개 종류 700만 여건의 인공지능 학습 원천데이터를 구축해 공유마당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국내 인공지능 산업계의 한..

제32회 서울시 도시공간정보포럼[공간정보 산업에서 AI의 힘] 공간정보 전문가들의 지식 공유와 관련 정책 토론의 장을 통해 관련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는제32회 서울시 도시공간정보포럼이 개최됩니다 공간정보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한 제32회 서울시 도시공간정보포럼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개회사 | 안종욱 도시공간정보포럼 위원장인사말 | 박진영 서울특별시 디지털정책관 발제1 | 인공지능과 GEOINT - 김동환 Lig넥스원 연구위원발제2 | 공간정보분석 분야 LLM 활용과 AI Factory WERT - 김태영 에이아이팩토리 대표 발제3 | 센싱, 매핑, AI 융합 플랫폼과 변화탐지 응용 사례 - 이임평 이노팸 대표 발제4 | 우주에서 본 지구 : 인공지능과 위성영상을 통한 공간정보 분석의 힘..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 발표…홍수경보 인근 지날 때 내비 안내다목적댐 20곳에 홍수조절용량 최대 61억 4000만㎥ 확보 환경부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더 빠르고 촘촘한 홍수예보를 추진해 예보지점을 그동안 대하천 중심 75곳에서 지류·지천을 포함한 223곳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안내, 침수우려지역 확인 등을 통해 정보를 쉽게 알 수 있게 제공하고, 다목적댐 20개에 홍수조절용량 최대 61억 4000만㎥의 물그릇을 확보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예측하기 어려운 집중호우 등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에 대한 사전 대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집중호우에도 홍수대응 방안이 실제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간 긴밀히 협조해 여름철 홍수대책을 추..

올해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 10개소 선정… 개소당 1년간 국비 각 10~12.5억 지원□ 국토교통부는 지역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확대하고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24년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의 공모 결과, 기초지자체 10곳을 선정하였다. ㅇ 선정된 지자체는 경기 포천시·양평군, 강원 정선군, 충북 제천시·증평군, 충남 당진시·부여군, 전남 영암군·무안군, 경북 의성군이다 ㅇ 해당 지자체는 국비 10~12.5억원을 지원받으며, 지역주민의 삶과 직결된 교통, 안전·방재, 생활·복지 솔루션인 스마트 주차공유, 스마트 폴 등 보급 솔루션과 지역의 여건에 적합한 특화 솔루션을 올해 하반기부터 구축하게 된다.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은 효과성이 검증된 솔루션(스마트 주차공유 등 8종)을 패..

오픈AI, ‘보고 듣고 말하는’ 새로운 AI 모델 ‘GPT-4o’ 출시챗GPT 선도자 오픈AI는 텍스트는 물론, 청각과 시각으로도 추론하고 이를 말할 수 있는 새로운 AI 모델 ‘GPT-4o’를 발표하며 다양한 시연 영상 공개(5.13) * GPT-4o의 ‘o’는 하나의 통합된 AI 모델을 의미하는 ‘옴니모델(Omni model)’ 의미 ‘GPT-4o’는 음성 인식, 스피치-투-텍스트(Speech to text), 이미지 인식 기능 등이 통합돼 대화형 인터페이스 형태로 자연스러운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모달(Multimodal, 다중 모드) 모델 아울러, 오픈AI는 구글·MS 등 경쟁사 검색엔진에 대응해 AI 기반 실시간 검색 서비스 출시도 임박한 것으로 알려져 이목 집중 ㅇ 구글 I/O 2024..

- 2024년 CCTV 영상분석 기술실증 공모사업 참여 공고(3.18.~4.19.) - 지자체 CCTV 지능형 관제체계로 전환사업의 일환, AI 영상분석 민간기업 관심유도 및 민관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기대 지자체 CCTV 지능형 관제체계 구축 공모 설명회 네이버 폼 설문에 바로 참여해 보세요. form.naver.com □ 행정안전부는 민·관 협력 컨소시엄 참여를 통해 지역의 재난안전 현안 해결을 지원하는「지능형 영상분석 기술실증 공모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이번 공모사업은 행정안전부가 2027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CCTV 지능형 관제체계로 전환’을 위한 준비단계로, 지능형 관제모델을 다양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사업이다. □ 이번 공모사업은 총 25억 원을 투입하여 크게 두 가지..
○ 개요 제조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일부 데이터는 와셔 구멍의 직경에서 통계적 이상값을 찾는 것과 같은 단순한 분석에 용이합니다. 원치 않는 소음이 발생하는 엔진을 사람이 분류하는 것과 같이 분석하기가 더 까다로운 데이터 유형도 있습니다. 머신러닝 및 AI(인공 지능) 모델이 이러한 까다로운 데이터의 처리를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결과는 실망스러운 경우도 있으며, 이는 특히 사람이 하는 해석과 분류를 대체하려고 시도하는 경우에 더욱 그렇습니다. 초기 AI 결과가 유망해 보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지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분석, 분야별 전문지식, 혼란스러운 신호 사이의 단절로 인해 데이터를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할 때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

챗GPT의 무한한 가능성 최근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는 챗GPT입니다. 이는 사람처럼 학습하고 대화하는 능력을 가진 생성형 AI로, 다양한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GPT 스토어의 등장 오픈AI는 GPT 스토어를 정식으로 출시하였습니다. 이 스토어에서는 맞춤형 GPT를 사고 팔 수 있으며, 이미 300만개가 넘는 맞춤 챗GPT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GPT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스마트폰 앱을 사고파는 것과 비슷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10일(현지 시각) 오픈AI가 GPT 스토어를 연 것은 AI 혁명의 기폭제가 될 만한 사건으로 받아들여진다. 누구나 맞춤형 챗GPT를 만들어 사용하고, 스토어에서 사고팔 수 있게 되면서 거대한 AI 생태계..

컴퓨터 비전・이미지 분야 최근 산업・사회적으로 큰 파급력을 갖는 대화형 생성형 인공지능의 기원은 이미지 원본의 압축-복원하는 오토인코더(AutoEncorder)로부터 비롯 생성형 인공지능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린 적대적 생성 신경망(’16~’20)과 변분 오토인코더(Variational Auto Encoder, VAE)의 등장 (’18.~’21.) 이미지 생성 분야에 가장 주목받는 기술인 확산모델(Diffusion model)은 생성된 이미지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20년~) 자연어처리를 위한 대형언어모델 언어모델(Language Model)은 주어진 문장이나 단어 다음에 올 단어의 확률을 예측하는 것으로써 그간 자연어 처리 과업에 있어 가장 어려운 문제로 인식 트랜스포머(transformer)의 등장..

미국 컬럼비아대, AI가 한 사람의 지문 유사성 확인https://www.engineering.columbia.edu/news/ai-discovers-not-every-fingerprint-unique AI Discovers That Not Every Fingerprint Is UniqueColumbia engineers have built a new AI that shatters a long-held belief in forensics–that fingerprints from different fingers of the same person are unique. It turns out they are similar, only we’ve been comparing fingerprints the wrong..

인공지능(AI)이라는 말이 내년부터는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그러나 이는 AI 기술이 정체하거나 비중이 작아진다는 의미가 아니라, 반대로 너무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일상에 녹아 들며 더 이상 이를 강조할 필요가 없다는 일명 'AI 역설(AI paradox)'이라는 설명이다. 포브스는 16일(현지시간) 다수 AI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 2024년부터는 AI라는 말이 사라질(Vanishes)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따르면 내년에도 AI는 널리 퍼질 것이며, 너무 광범위하게 모든 분야에 침투해 굳이 강조할 필요도 없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와 같은 과대광고(hype)가 사라지는 것은 물론 우리의 인식에서도 희미해질 것이라고 봤다. NBC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 AI를 도입한 기업은 4%..

복잡하고 긴 대화형 질의 입력하면 검색 결과 상단서 큐가 바로 답변 https://cue.search.naver.com/ Cue: 새로운 네이버 AI 검색 Cue: 네이버 검색은 사용자에게 최상의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네이버의 AI 기술이 집약된 Cue:를 통해 새로운 검색 경험을 선보이 cue.search.naver.com 네이버 검색창에 복잡하고 긴 질의를 대화하듯 입력해도 AI가 원하는 결과를 요약해서 답변해주고 맞춤형 서비스까지 연결해준다. 네이버(대표 최수연)는 지난 달 30일부터 네이버 통합검색에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큐'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큐는 네이버가 지난 9월부터 시범 운영 중인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다. 쇼핑과 로컬 등 네이버의 다양한..

- 6 제곱 킬로미터마다 경제 발전 정도를 측정해 지도 만드는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 - 북한을 비롯해 통계자료가 부족한 개발도상국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적 AI 기술로 국제사회에서 활용하도록 무료 공개할 예정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3-42122-8 Abstract Machine learning approaches using satellite imagery are providing accessible ways to infer socioeconomic measures without visiting a region. However, many algorithms require integration of ground-truth data, wh..

10일부터 5대광역시별 연구개발(R&D) 사업 연구기관 공모… 핵심 선도기술 선정해 ’26년까지 총 280억원 지원 □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11월 10일(금)부터 12월 11일(월)까지 지방 5대광역시(광주․대구․대전․부산․울산)에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하고 현안과 이슈 해결을 위한 지역도심융합기술 연구개발(R&D) 사업에 참여할 연구기관을 공모한다. * 5개 지역별로 AI, 서비스로봇, 미래 모빌리티, 스마트빌딩, 에너지 산업 등 핵심 선도기술을 선정해 ‘26년까지 총 280억원을 지원할 예정□ 지역도심융합기술연구개발(R&D) 사업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도심융합특구 사업과 연계하여 특화산업 및 기업 육성을 위해 국토교통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ㅇ 지난 4월 지역별로 핵심과..

국내 기업 한 자리에 모여 우리나라 초거대 인공지능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글로벌 출정과 자발적 안전조치 마련 선언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글로벌 협력과 신뢰성 확보를 적극 뒷받침하고, 새로운 디지털 질서의 기본방향으로서 디지털 권리장전을 수립할 것 ’24년 9,090억원 투입을 시작으로 국민일상, 산업현장, 공공행정 등 국가 전방위적으로 인공지능을 확산하는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 추진 https://www.msit.go.kr/bbs/view.do;jsessionid=BhlBIaRrpokWICtbQPGU5AoygOEosnzJ4-9mfxkF.AP_msit_1?sCode=user&mPid=208&mId=214&bbsSeqNo=88&nttSeqNo=3175673 카드뉴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ww.ms..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 D-1 주년 기념 국제지질포럼28~30일 벡스코서 개최…. 국내외 인사 참석내년 행사 개최 앞두고 성공전략 및 방안 모색 인공지능(AI)과 지질학의 만남이 지구과학 분야의 연구 패러다임을 바꾸고 해당 분야의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치우밍 청 중국 중산대 및 베이징 중국지질대 교수는 '2024년 부산 세계지질과학총회(IGC2024) D-1주년' 기념 행사로 부산 벡스코에서 29일 열린 국제지질포럼에서 "AI와 빅데이터는 지구과학에서 혁신을 일으킬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지질과학연맹(IUGS) 전 회장인 청 교수는 회장 재임 시절 IUGS에서 '딥타입 디지털 어스(DDE)' 프로그램을 이끌었다. DDE는 빅데이터 분석,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기계학습(머신..

SKT 기술 접목 독립기념관 가보니 이미지복원·로봇 등 AI 기술 접목 2020년부터 독립기념관과 협력 웹AR 등 게임콘텐츠도 적용 내년 연동 콘텐츠 확대 계획 내가 만세를 외친 것은 우리나라를 되찾기 위한 정당한 행동이었습니다."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독립기념관 야외 미디어파사드에서 흑백 사진으로 등장한 유관순 열사 이미지에 색깔이 점차 입혀지더니 사진 속 유관순 열사가 입을 떼며 이같이 말했다.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진 복원 등의 작업을 거친 결과다. 지난 17일 방문한 독립기념관 내에는 SK텔레콤과 독립기념관이 협력해 만든 ICT 체험형 공간이 마련돼 있었다. 독립기념관 데이터 기반의 역사 콘텐츠를 SKT의 ICT 기술을 접목시켜 증강현실(..